-
불량 수입철근 국내산 둔갑 차단Construction Info/골조공사 2010. 6. 16. 10:07
□ 기술표준원(원장 허경)은 품질검사도 거치지 않은 불량철강재 유통으로 인한 구조물의 붕괴 및
인명피해를 방지하기위해철근의 원산지․강종 등의 식별표시가 강화된 한국산업표준(KS)
개정안을 시행(‘10.6.5)한다고 발표하였다.(붙임 1 참조).
□ 철강 가격상승이 가져오는 이른바 “아이언플레이션(Iron Inflation)”으로 올해 국내 기업이 원자재
수급에 어려움을 겪고있는 가운데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철근 수입량이 작년 동기 대비 71%
증가하고 있으며(붙임 2 참조).
□ 이중 일부 수입되는 철근중에는 항복강도, 화학성분 등이 명확치 않은 불량 철근이 국내에서 시험․
검사가 면제되는 KS인증제품으로 둔갑되어 유통될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.
□ 정부는 이를 차단하고자 지난해 6월 1년간의 유예기간을 주고 식별표시를 강화한 KS철근 표시방법
개정안을 고시(‘09.6.5) 하였다.
□ 개정안에 따르면 KS철근은 낱개마다 원산지,제조자,호칭,강종(일반철근,고강도철근 등)을
1.5m 이하의 간격마다 반복적으로 표면에 양각 표시토록 하여 불량 철근의 사용 근절 및
수입 된 철근이 국내산으로 둔갑되는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하였다.(붙임 3 참조).
* 철근 KS 인증업체 수(‘10.4월 현재) : 42개업체(국내 25개, 중국 2개, 일본 13개, 터어키 1개, 대만 1개 업체)
□ 또한, 기술표준원은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된 세계최고강도[800Mpa(Pa=N/㎡)] 철강재 등을
국가표준으로 신속히 도입하여 품질이 향상된 KS제품을 보급․확대해 나갈 계획이다.
붙임 : 1. 개정된 KS D 3504의 품질표시 방법 및 사항
2. 철근 수입량 및 국내 생산량 현황
3. 철근 1묶음마다 부착하는 식별표의 강종별 색 구별 표시
0414_(15일조간)_소재나노표준과_불량수입철근.hwp0.88MB'Construction Info > 골조공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콘크리트균열 시공관리 (0) 2013.07.05 레미콘 공장점검사항 (0) 2012.07.10 철근콘크리트 개념정리 (0) 2010.08.11 콘크리트의 시공줄눈 (0) 2010.06.18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원인, 보수방법 (0) 2008.04.03